
OSI 7 LAYER OSI 7계층이란 캡슐화(Encapsulation): 데이터를 전송할 때 각각의 계층마다 별도로 인식할 수 있는 헤더를 각각 붙이는 작업 디캡슐화(De-Encapsulation): 데이터가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된 후 헤더가 벗겨지게 되는 것 각 계층은 아래 계층의 데이터가 됨. Payload: 직전 계층에서 내려오는 부분 각 계층마다 요청(Request)와 응답(Response)의 상호작용 서버와 클라이언트 관계 PDU(Process Data Unit): 각 계층에서의 데이터 단위 구분 1계층: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전기, 물리 신호 계층 전기 공급부터 장비끼리의 물리적인 연결을 위한 랜 케이블 등 전기적/물리적인 모든 것 단위 Bit (전기적 신호 0 or 1)..
HTTP 요청 GET /kakao HTTP/1.1 Host: naver Content-Type: application/json Content-Length: 20 { "id": "춘식" } naver에 http GET 메서드를 이용해 kakao라는 리소스를 요청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서버는 자기 주소를 제외한 /{리소스} 부분을 이해하고 또 이 요청이 어떤 HTTP 메서드를 이용했는지 알아야 한다. 그 후 해당 리소스의 HTTP 메서드에 연결된 메서드를 실행해야 한다.
REST: Rest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아키텍처 스타일: 반복되는 아키텍처 티자인 REST 6가지 제약조건 클라이언트-서버 클라이언트-서버: 리소스(REST API가 리턴할 수 있는 모든 것 ex: HTML, JSON, 이미지 등)를 관리하는 서버가 존재하고 다수의 클라이언트가 리소스를 소비하려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근하는 구조 상태가 없는 stateless 상태가 없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낼 떄 이전 요청의 영향을 받지 않음 HTTP: 기본적으로 상태가 없는 프로토콜 로그인 예시 -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할 때마다 요청에 리소스를 받기 위한 모든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서버는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요청을 보낼 때마다 로그인 정보를 항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