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00년대 초반

 

자바당 정파 기술 EJB - Enterprise Java Beans - (그 당시 오픈소스 지양)

 

1. 이론적인 부분은 좋았음.

 

2. JPA와 비슷 - ORM - 자바 객체에다가 디비를 편하게 꺼내는 기술 (쿼리를 안 씀)

 

3. 단점: 가격이 너무 비쌈.

 

4. EJB 지옥: 진짜 어렵고 개발자들이 사용하기 너무 복잡함

- EJB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의존적으로 개발해야 함

- 코드도 지저분, 라이프사이클이 어떻게 돌아가는 지 모르겠음

- 실행시간도 오래걸림

- 한마디로 지옥

 

5. EJB가 너무 느리고 복잡하니까 순수 자바로 돌아가자~!

POJO - Plan Of Java Object(오래된 방식의 자바 오브젝트를 사용하자)

- 예전으로 돌아가자

 

6. EJB가 제공하는 ORM은 기술 수준이 정말 낮았음 - 사용하지 못할 수준

 

7. EJB 지옥을 구원해줄 개발자 2명

 

 

1. 로드 존슨 - 오픈 소스를 개발하기 시작, EJB를 비판

- 스프링 프레임워크

 

2. 하이버네이트 - EJB 엔티티빈 기술을 대체

- JPA(Java Persitence API)

 

3 EJB 엔티티빈 ->(등장) 하이버네이트 ->( 자바 표준) (JPA)

 

4. 표준 인터페이스(JPA) <-  하이버네이트, EclipseLink, 기타 (JPA 구현체들)

- 자바 ORM, 자바 구현체 시장의 대부분을 JPA와 하이버네이트가 장악

 

5. 실제 개발하던 개발자들이 사용하던 기술에다가 표준을 여러 사람이 논의하면서 정제하면서 필요한 걸 덜어냄

- 다른 오픈소스들가 달리 깔끔하게 실용성과 표준 안전성을 합해서 JPA가 탄생함.

 

스프링 역사

 

1. 로드 존슨이 EJB의 문제점을 디스하면서 EJB 없이 예제 코드를 공개

 

2. 스프링 핵심 개념과 기반 코드

 

3. BeanFactory, ApplicationContext, POJO, 제어의 역전, 의존관계 주입

 

4. 책 출간 직후 오픈 소스 프로젝트 제안

 

5. 스프링의 핵심 코드는 유겐 휠러가 개발

 

6. 스프링 - EJB라는 겨울을 넘어 새로운 시작(봄)이라는 뜻으로 만든 이름

 

릴리즈

 

2003년 스프링 1.0 - XML

2006년 스프링 2.0 - XML 편의 기능 지원

2009년 스프링 3.0 - 자바 코드로 설정

2013년 스프링 4.0 - 자바8

2014년 스프링부트 1.0 출시 -  스프링 단점: 환경 설정이 너무 어려움(편의성을 위해 톰캣을 내장한 스프링부트 출시)

2018년 스프링 5.0, 스프링 부트 2.0 출시 -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지원

2020년 9월 스프링 5.2.ㅌ, 스프링 부트 2.3.x

 

 

why? 이렇게 스프링에 열광했는지를 다음 시간에 알아보자~!.

 

 

 

[출처] 인프런: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김영한님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